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본문시작

[주아영 / joogija@sk.com]
"제가 서 있는 이곳은 방음벽 사이의 횡단보도입니다.

75cm 정도 두꺼운 방음벽에 가려 차량이 잘 보이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달려오는 차량도 횡단보도 보행자를 잘 볼 수 없는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지난달 15일에는 사망사고도 발생했습니다.

횡단보도 옆에 서 있던 A씨가 우회전하던 관광버스에 치여
결국 숨졌습니다.

[주아영 / joogija@sk.com]
"이를 두고 주민들은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의 안전을 위해
방음벽을 철거해야 한다는 의견과 소음차단을 위해 존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팽팽합니다.
모두의 안전을 위해 방음벽은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요?
민원1번지에서 현장을 취재합니다. "

이곳 방음벽은 지난 2019년쯤 8천여 세대가 들어서 있는
아파트단지의 소음 저감을 위해 세워졌습니다.

38번 국도와 경부고속도로 나들목 등이 있어 차량 통행이
많은 지역입니다.

길이 304m, 높이 19m의 방음벽을 세우는데는 국비와
시비 등 총 77억 원 소요됐습니다.

하지만 주변의 주민들은 방음벽이 세워지기 시작하면서부터
꾸준히 안전 문제를 제기해 왔습니다.

시야가 가려지면서 안전시설이 아닌 위험시설이 됐다는 겁니다.

[장동평 / 방음벽 주변 마을 통장]
"완충녹지가 아닌 바깥쪽으로 방음벽을 왜 설치하느냐 민원을
제기했음에도 불구하고 강행해서 이렇게 높은 방음벽이 설치돼
시민안전이 많이 위협됩니다. 77억이라는 비용보다 한
사람의 생명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결국 사망사고로 이어지자 주민들은 환경시민단체와 연대해
단체 행동에 들어갔습니다.

시민연대는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방음벽 철거에 무게를 두고
서명운동과 시위 등을 전개해 나갈 계획입니다.

[김연진 / 평택 방음벽 안전환경 시민연대 공동대표]
"안전시설이 아니라 위험한 시설로 바뀐 것이거든요. 그러면
안 그래도 위험한 도로인데 더 위험하라고 위험시설을 설치한 것은
이것은 행정의 아이러니다. 어느 시민도 어느 국민도 못하는..."

반면에 소음차단 효과가 있다면 존치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습니다.

[방음벽 주변 주민]
"없애는 것은 좀 아닌 것 같은데요. (왜요?) 예전에는 지나다닐때
차소리가 되게 시끄러웠는데 (방음벽)이 있음으로 해서 조용하긴 하더라고요."

방음벽과 가장 가까운 아파트단지에 방음차단 숲을 조성하거나
방음벽을 새로 설치하는 방법 등도 제시되고 있습니다.

[방음벽 주변 주민(음성변조)]
"방음벽도 설치할 수 있고 앞에 있는 완충녹지처럼 흙을 쌓아서
다시 연계를 해가지고 나무나 방품림을 심어도 좋은 상황이 나올 것 같습니다."

존치냐 철거냐에 앞서 모두가 방음벽은 시민안전을 위한
시설이어야 한다는데는 의견을 함께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안성과 평택 경찰서는 "교차로의 시야 장애물인
방음벽은 설치 불가"라며 철거를 요구했습니다.

당시에도 이 문제를 제기했지만 관계기관이 협의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준공했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주민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방음벽 시설을 관리할
책임 주체는 현재 명확하지 않습니다.

방음벽을 설치한 서울지방국토관리청 수원사무소는 지난 1월
방음벽 유지·보수 관리를 평택시에 넘겼다고 밝혔습니다.

[수원국토관리청 관계자(음성변조)]
"최종 권익위의 조정 결과에 따라 설치가 됐는데 그런 사고가
발생했다고 해서 평택시가 이번에 안 받겠다고 이렇게
주장하는 것은 말이 안 되는 거죠."

하지만 평택시는 민원 쇄도로 국토관리청에 수차례 안전 대안을
마련한 뒤 이관할 것을 요청했는데 받아주지 않았다고 토로했습니다.

[평택시 관계자(음성변조)]
"(평택시)가 방음벽에 대한 시설물 유지 관리하는 것으로
얘기가 됐던 거지, 이것에 대한 철거나 이설처럼 근본적인
문제를 평택시에다 떠넘기는 것은 맞지가 않잖아요?"

[주아영 joogija@sk.com]
"소음차단을 위한 안전시설물로 지어진 77억 방음벽.

평택시와 국토관리청이 책임을 떠넘기는 사이
주민들의 안전은 여전히 위협받고 있습니다.

B tv 뉴스 주아영입니다. "

구매하기
창닫기
영상선택
창닫기
페이지 맨 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