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많은 우리동네 B tv 소식은 “ch1.skbroadband.com”에서 보실수 있습니다
[앵커멘트] 전세계가 스마트 시티 경쟁이 시작됐습니다. 부산이 국가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로 지정되면서 세계 표준이 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큰 게 사실인데요.
스마트 혁신기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미래도시 여행을 같이 가보시겠습니다. 김윤정 기자입니다.
========================================= 부산 서낙동강 일대에 들어서는 친환경 수변도시, 부산 에코델타시티.
여의도 면적의 약 4배인 총면적만 11.8제곱킬로미터 규모입니다.
국가 스마트시티 시범도시로 지정된 부산 에코델타시티 안에는
친수형 수변도시 환경에 맞게 미래 혁신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스마트빌리지가 조성되어 있습니다.
이곳 스마트빌리지에는 56가구 주민들이 새로운 스마트 기술을 먼저 체험하고 있습니다.
일명, 리빙랩 체험 단지입니다.
집안에서 체중과 체지방 등 헬스케어 장비가 구축돼 측정을 통한 실시간 건강관리까지 가능합니다.
빌리지내 별도로 마련된 센터에선 전담 간호사를 통한 건강상담과
지역 대학병원과 연계된 비대면 진료까지 입주민들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기자싱크] 상담은 주로 어떤걸 하시나요?
INT- 박창효 / 고신대학병원 대외협력팀장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시범도시로 운영하고 있는 56세대 스마트빌리지 가구에 수자원공사에서 이미 제공하고 있는 로봇을 이용한 마이 데이터 자료를 지금 현재 착한 의사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고..
언제 어디서든 우리집 가전을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홈 시스템.
편리함이 생활화됩니다.
[싱크] 청소기 돌려줘~~~청소기가 청소를 시작합니다.
집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질 정보나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빗물을 재활용하는 시스템으로 스마트팜 농장에서 신선한 먹거리도 기를 수 있습니다.
평범해 보이지만 이곳 주택들. 빗물을 활용한 빗물저류조, 스마트정수장, 빌리지 전체에 태양광 , 수열.지열 에너지 , 외단열, 전기 공유차, 지능형 CCTV, 로봇을 활요한 서비스까지 적용된 혁신기술만 41개입니다.
INT- 스마트빌리지 입주민 태양열로 햇볕이 나면 전기료도 많이 안나와요 태양열이라 날씨가 좋으면 전기료가 많이 안나와요. 전기료를 하나도 안내는 사람도 있습니다. 식구 적은 사람은...
그야말로 국내 최초 제로에너지 1등급 주택입니다.
INT- 김윤하/ 한국수자원공사 스마트시티처 차장 혁신 기술을 리더하는 그룹들이 먼저 기술들을 체험하고 검증하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분들이 생활하시면서 데이터를 생성하고 계시는데 일반적인 대한민국 국민들이 생활하면서 발생하는 쓰레기 양부터 재활용품의양부터 에너지소비에 대한 생활패턴들에 대한 필요한 정보들을 다 모으고 있습니다. 이런 정보들이 모이게 되면 좀 더 나은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를 시민들에게 제공할 수 있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 입니다.
입주민들을 위해 설치된 커뮤니티센터.
무인 로봇 시스템을 갖춘 스냅바와 로봇 트레이너를 활용한 AI 체육센터에서는 인공지능으로 체험과 체력 등을 분석해 개인별 지도를 받을 수 있습니다.
5년 동안 머물며 기술을 체험하고 기술 개선이 이뤄지는 실험실 역할을 하게 됩니다.
INT- 김윤하/ 한국수자원공사 스마트시티처 차장 시행착오를 사전에 검증을 해봄으로 인해서 스마트시티, 국가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스마트시티 개발 사업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리빙랩 공간을 입주민들이 체험을 하고 계시고 갸장 먼저 만나는 미래를 체험하시면서 기술들을 고도화 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고 계십니다.
부산시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스마트빌리지에서 검증된 기술을 부산 에코델타시티 전역에 보급할 계획입니다.
INT- 박형준 / 부산시장 에코델타시티는 스마트시티로 새바랑이 될 것이고 전세계가 스마트 시티 경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시범도시로 세종시와 에코델타시티가 스마트 시범 도시로 지정이 되어 있는데 저희 구상은 부산의 스마트 시티를 세계의 표준이 될 수 있는 스마트시티로 만들어보겠다라는 야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격적으로 시작된 스마트 시티 경쟁. 부산 스마트빌리지가 세계 선도적인 스마트시티 모델이 되고 있습니다.